대기압 썸네일형 리스트형 대기압의 인식은 언제부터였을까? 대기압에 대한 정량적인 측정은 17세기 토리첼리가 기압계를 발명하면서 알 수 있게 되었습니다. * 토리첼리는 갈릴레오 갈릴레이의 제자 토리첼리는 진공에 대해 많은 흥미를 갖고 있었고, 스승인 갈릴레이는 광산에서 물펌프를 이용하여 단지 약 10m 정도만 끌어올릴 뿐, 이유를 정확히 알 수 없었지만, 제자인 토리첼리는 물펌프의 입구에서 물을 누르는 공기의 압력 때문이라는 것을 인지하고 있었습니다. 이를 실험하기 위해 물보다 밀도가 큰 액체를 사용했어야 했는데, 이때 사용된 액체가 바로 수은(Hg)입니다. 수은은 물에 비해 약 13.6배, 즉 물 질량보다 13.6배 무겁습니다. 토리첼리는 실험을 준비하면서 한쪽 끝이 막힌 약 1m 정도의 유리관을 사용하여 수은을 채운 후 열린쪽을 막고 뒤집어 수은이 채워진 용.. 더보기 이전 1 다음